탄소권배출 사업을 목표로 작게는
가정의 보일러부터 소각로, 용해로 등에서 발생하는
폐열 및 방산열 에너지를 회수 및 저장하여
전기·온수를 재생산하는 하베스트
LG하우시스, 일본 코레노, 독일 어베리사 등 IT산업용 필름 및 박막소재를 가공 처리하는 업체에 Roll to Roll 장비 및 제어 시스템, 필수설비인 열반응 챔버(chamber)의 설계 엔지니어링을 수행 한 바 있습니다.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배기 가스 등 버려지는 중·저온의 열 에너지(폐열)를 회수하여
이를 열전효과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시스템
저온 폐열로 부터 흡열판
(또는 히트파이프)를 통해
에너지 회수
회수한 열에너지를
열전발전모듈을 통해
전기에너지로 변환
전기로 변화된 에너지를
저장 또는 공장에서
재사용
선재 공정 등 Process Line에서
발생하는 방산열 회수 발전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중·저온의
배기가스 열을 회수 발전
기름과 엔진이 없는
폐열을 이용한 신재생 발전시스템
주간야간 연속발전
(24시간 폐열 발생 기준)
1kW발전시 설치면적 1.3㎡
(배기가스 덕트부 설치기준 단면적)
구조 | ![]() |
![]() |
---|---|---|
발전방식 | 유기랭킨사이클(ORC). 고압증기 용 보일러의 터빈 동력에 의한 전기생산. |
열전발전 모듈. 폐열과 같은 열원으로부터 열에너지를 회수하여 열전효과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기. |
설비용량 (kw/h) |
20,000 | 0.1~100 |
장점 | - 중저온 폐열회수 전력생산. - 연속적인 광범위 가변속 운전이 가능. - 운전효율이 높음. - 유지보수 비용이 낮음. - 안전하고 긴 수명. |
- 열원에서 선택범위가 넓고 경쟁력 있는 발전방식. - 설치면적이 타 발전기에 비해 현저히 적음. - 유지관리비용이 경제적. - 반도체 방식의 고체 발전기술로 친환경성이 우수. - 진동,소음,마모등이 없음. |
단점 | - 초기 투자비용이 큼. - 설치 공간 확보 어려움. - 설비확장 및 폐기시 환경오염이 발생할 우려가 큼. - 보조전력사용이 필요함. |
- DC-AC 전력 변환 기술 단가가 높음. - 상용화 발전시스템이 없음. - 시스템 내구성에 대한 검증이 필요. |
폐열 발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