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저감을 통한 청정에너지 강국이 되기 위한
목적으로 냉매가스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개념의 반도체
융복합 엔지니어링으로 활용도 높은 친환경냉난방 시스템 개발
80년대부터 프레온 가스 대체재로 도입된 HFC는 신흥국 경제 성장과 함께 에어컨,냉장고 사용이 급증하면서 온실가스를 일으키는 주범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최근 몬트리올 의정서 제 28차 당사 국회의(르완다 수도 키랄리)에서 HFC의 소비량을 단계적으로 줄이는 것으로 197개국이 의정서 개정 합의 사항에서
성하에너지는 오존층 파괴의 주범인 프레온가스로 대표되는 냉매를 사용하지 않고 열전냉각모듈을 사용하여 냉각 순환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게 됨
오존층 파괴의 주범인 프레온가스로 대표되는 냉매를 사용하지 않고 열전냉각모듈을 사용하여
냉각 순환하는 시스템
이웃나라 일본은 2023년이후 냉매가스(친환경냉매가스포함) 사용금지!
온실가스 저감을 통한 청정에너지 강국이 되기 위한
목적으로 냉매가스를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반도체 융복합 엔지니어링으로 활용도 높은 친환경냉난방 시스템 개발
열전반도체의 융복합 기술을 이용한 신개념
냉각방식 적용(친환경 제품)
에어컨 냉매, 압축기, 실외기 등 불필요
냉매가스의 이송 배관이 없어, 응축수가
생기지 않습니다.
구분 | ![]() |
![]() |
---|---|---|
냉각원리 | 냉매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를 거치며 냉각 (기화열에 의한 냉각) |
두가지 재료의 접함점 사이에 열유속을 생성하는 냉각방식 (열전효과에 의한 냉각) |
설비구성 |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드라이어 | 냉각모듈, 펌프, 라디에이터 |
냉각제 | 냉매가스(R22등) | 사용하지 않음 |
배출온도 | 60℃ 이상 | 35℃ 이하 (외기 온도 30℃ 기준) |
PC용 전원공급장치 ( 300W 두개 사용 ) 의 사용은 소모전력이 작음을 의미 함. 특히 2차 제작 시제품에서는 500W 전원공급장치로 축소함과 더불어 냉각수 탱크와 2개의 휀과 열전소자 두개를 적용하지 않아도 성능은 오히려 강화 됨
2차제작 시제품의 3번과 같이 1차 시제품에 적용하지 않았던 엑츄에이터와 Y자 형태의 냉각모듈을 적용함으로 가변적 냉각방법을 적용, 냉방 성능을 개선 함.
오존층파괴의 주범인 프레온가스
냉매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열전냉각 모듈을 이용한
신개념 냉각 방식(-54℃)
- 물과 얼음이 필요없는 기존 냉풍기와 차별화된 시스템 적용
- 기존 냉풍기와 비교하였을 때 곰팡이 및 물 비린내 발생 억제
- 1인가구용
- 물과 얼음이 필요없는 기존 냉풍기와 차별화된 시스템 적용
- 열전소자 모듈을 적용한 온도제어 시스템 (냉난방 겸용) 적용
- 10,000BTU(1,900kcal) 공기조화장치
품목 | 제습장치겸용 미니냉풍기(1인용) |
---|---|
Inlet/Outlet 온도차이 | 5℃ 이상 |
최대풍량 | 20cfm |
크기 | W 164 * H 263 * D 164 |
전력소모량 | 90W |
기능 | 냉방·제습 |
사용분야 | 가정,사무실,고시원,캠핑카,1인가구외 |
인류는 그동안 경험해 보지 못한 기후변화를 겪고 있다. 이러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지 않으면 2100년쯤에는 지구 평균온도가 3.7도, 평균해수면이 63cm상승한다.
인류가 살기에는 매우 위험한 환경이 머지 않았다. 경각심을 가지고 국제사회는 2018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를 구성하고 2100년까지 지구온도 상승을 1.5도 미만으로 제한하자는데 합의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기후변화의 주된 원인은? 연료연소나 산업공정 등에서 인류가 배출한 온실가스입니다. 2017년 한국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709.1백만톤으로 OECD국가중 4위라고 하는데요.
여기서 온실가스란?
지구온난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대기중의 가스형태 물질을 의미합니다.
(출처:한국환경공단 사보)